gRPC와 Twirp 비교: Go에서의 내부 서비스 통신을 위한 실용 가이드
James Reed
Infrastructure Engineer · Leapcell

소개
마이크로서비스와 분산 시스템의 빠르게 진화하는 환경에서 효율적이고 강력한 서비스 간 통신은 매우 중요합니다. 애플리케이션이 더 작고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단위로 분해됨에 따라, 잘 정의되고 성능이 뛰어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해집니다. Go는 강력한 동시성 기본 기능과 뛰어난 성능 특성을 갖추고 있어 이러한 서비스를 구축하는 데 인기 있는 선택이 되었습니다. Go에서 내부 서비스 통신과 관련하여 두 가지 주요 프레임워크가 자주 고려됩니다. 바로 gRPC와 Twirp입니다. 두 프레임워크 모두 이진 직렬화 및 강력한 타입 지정과 같은 기존 REST API에 대한 이점을 제공하지만, 약간 다른 요구사항과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. 이 문서는 gRPC와 Twirp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핵심 개념, 실제 구현 및 적합한 사용 사례를 탐구하여 개발자가 내부 Go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입각한 기술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.
핵심 개념 및 구현
비교에 앞서 두 프레임워크 모두의 기초가 되는 핵심 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확립해 보겠습니다.
프로토콜 버퍼(Protobuf): gRPC와 Twirp 모두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(IDL) 및 기본 직렬화 형식으로 프로토콜 버퍼를 활용합니다. Protobuf는 구조화된 데이터를 직렬화하는 언어 독립적, 플랫폼 독립적, 확장 가능한 메커니즘입니다. .proto
파일에서 서비스 계약 및 메시지 형식을 정의하며, 이 파일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용 코드로 컴파일됩니다.
RPC(원격 프로시저 호출): 본질적으로 RPC는 원격 기계에서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로컬 함수 호출과 관련이 있습니다. gRPC와 Twirp 모두 RPC 프레임워크이며, 네트워크 통신 세부 정보를 추상화하여 개발자가 로컬 함수처럼 원격 서비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
gRPC: 모든 기능을 갖춘 강력한 프레임워크
gRPC는 Google에서 개발한 고성능, 오픈 소스 범용 RPC 프레임워크입니다. 전송을 위해 HTTP/2, IDL로 프로토콜 버퍼를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인증, 로드 밸런싱, 상태 확인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.
메커니즘: gRPC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메서드를 호출하는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을 사용합니다. 서비스 메서드 및 메시지 유형의 정의는 .proto
파일에 지정됩니다. Go 플러그인이 있는 gRPC 컴파일러(protoc
)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를 생성합니다.
주요 기능:
- 양방향 스트리밍: gRPC는 단항, 서버 스트리밍, 클라이언트 스트리밍, 양방향 스트리밍의 네 가지 유형의 서비스 메서드를 지원합니다. 이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또는 지속적인 데이터 교환이 필요한 시나리오에 상당한 이점입니다.
- HTTP/2: HTTP/2를 활용하면 멀티플렉싱(단일 TCP 연결을 통한 다중 동시 요청) 및 헤더 압축과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성능이 향상되고 지연 시간이 줄어듭니다.
- 풍부한 생태계 및 도구: Google 프로젝트이므로 gRPC는 광범위한 언어 지원, 모니터링 도구 및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통합을 통해 성숙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습니다.
- 인터셉터: gRPC는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 모두에서 인터셉터를 허용하여 로깅, 인증, 추적 등을 위한 미들웨어와 같은 기능을 가능하게 합니다.
예시 (gRPC 서비스 정의 greeter.proto
):
syntax = "proto3"; package greeter; option go_package = "greeterService"; service Greeter { rpc SayHello (HelloRequest) returns (HelloReply) {} } message HelloRequest { string name = 1; } message HelloReply { string message = 1; }
예시 (gRPC 서버 main.go
):
package main import ( "context" "log" "net" pb "greeterService" // protoc로 생성됨 "google.golang.org/grpc" ) type server struct { pb.UnimplementedGreeterServer } func (s *server) SayHello(ctx context.Context, in *pb.HelloRequest) (*pb.HelloReply, error) { log.Printf("Received: %v", in.GetName()) return &pb.HelloReply{Message: "Hello " + in.GetName()}, } func main() { lis, err := net.Listen("tcp", ":50051") if err != nil { log.Fatalf("failed to listen: %v", err) } s := grpc.NewServer() pb.RegisterGreeterServer(s, &server{}) log.Printf("server listening at %v", lis.Addr()) if err := s.Serve(lis); err != nil { log.Fatalf("failed to serve: %v", err) } }
예시 (gRPC 클라이언트 client.go
):
package main import ( "context" "log" "time" pb "greeterService" // protoc로 생성됨 "google.golang.org/grpc" "google.golang.org/grpc/credentials/insecure" ) func main() { conn, err := grpc.Dial("localhost:50051", grpc.WithTransportCredentials(insecure.NewCredentials())) if err != nil { log.Fatalf("did not connect: %v", err) } defer conn.Close() c := pb.NewGreeterClient(conn) ctx, cancel := context.WithTimeout(context.Background(), time.Second) defer cancel() r, err := c.SayHello(ctx, &pb.HelloRequest{Name: "World"}) if err != nil { log.Fatalf("could not greet: %v", err) } log.Printf("Greeting: %s", r.GetMessage()) }
Twirp: HTTP 우선 RPC 프레임워크
Twirp는 Twitch에서 구축한 RPC 프레임워크로, 프로토콜 버퍼를 IDL로 사용합니다. 프로토콜 버퍼를 사용하여 JSON 또는 이진 형식으로 일반 HTTP 위에서 표준 HTTP/1.1 호환 서비스를 생성하는 데 중점을 두어 단순함과 친숙함을 목표로 합니다.
메커니즘: HTTP/2를 직접 사용하는 gRPC와 달리 Twirp는 표준 HTTP 핸들러 (Go의 경우 http.Handler
)를 생성합니다. 이는 Twirp 서비스가 기존 HTTP 인프라에 쉽게 통합되고, 표준 HTTP 프록시와 잘 작동하며, 일반적인 HTTP 도구로 디버깅하기 더 쉽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주요 기능:
- 간단한 HTTP 의미론: Twirp 요청은
/twirp/package.Service/Method
엔드포인트에 대한 간단한 POST 요청입니다. 요청 본문에는 프로토콜 버퍼로 인코딩된 이진 또는 JSON 페이로드가 포함됩니다. 이로 인해 이해하고 통합하기가 매우 쉽습니다. - HTTP/1.1 호환성: 이것이 주요 차별점입니다. Twirp는 특수 HTTP/2 기능에 의존하지 않아 표준 로드 밸런서, 프록시 뒤에 배포하고 HTTP/2가 완전히 지원되지 않거나 모든 곳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환경과 상호 작용하기가 더 간단합니다.
- 최소주의 및 의견: Twirp는 가볍고 예측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핵심 RPC 문제에 집중하고 방대한 부가 기능 세트를 추가하지 않아 개발자가 인증 또는 로깅과 같은 작업에 기존 Go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도록 권장합니다.
- 쉬운 디버깅: 일반 HTTP이므로
curl
또는 모든 HT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Twirp 서비스와 직접 상호 작용하고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.
예시 (Twirp 서비스 정의 greeter.proto
):
syntax = "proto3"; package greeter; option go_package = "greeterService"; service Greeter { rpc SayHello (HelloRequest) returns (HelloReply); } message HelloRequest { string name = 1; } message HelloReply { string message = 1; }
(참고: 기본 단항 RPC의 경우 .proto
파일은 gRPC와 동일하며, Protobuf의 IDL 이식성을 강조합니다.)
예시 (Twirp 서버 main.go
):
package main import ( "context" "log" "net/http" pb "greeterService" // protoc-gen-twirp_go로 생성됨 ) type server struct {} func (s *server) SayHello(ctx context.Context, req *pb.HelloRequest) (*pb.HelloReply, error) { log.Printf("Received: %v", req.GetName()) return &pb.HelloReply{Message: "Hello " + req.GetName()}, } func main() { twirpHandler := pb.NewGreeterServer(&server{}) // 라우팅을 위한 새 ServeMux 생성 mux := http.NewServeMux() mux.Handle(twirpHandler.PathPrefix(), twirpHandler) log.Printf("server listening on :8080") http.ListenAndServe(":8080", mux) }
참고: protoc --twirp_out=. --go_out=. greeter.proto
를 사용하여 greeter.twirp.go
를 생성해야 합니다.
예시 (Twirp 클라이언트 client.go
):
package main import ( "context" "log" "net/http" pb "greeterService" // protoc-gen-twirp_go로 생성됨 ) func main() { client := pb.NewGreeterClient("http://localhost:8080", http.DefaultClient) ctx := context.Background() resp, err := client.SayHello(ctx, &pb.HelloRequest{Name: "World"}) if err != nil { log.Fatalf("could not greet: %v", err) } log.Printf("Greeting: %s", resp.GetMessage()) }
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및 기술 선택
gRPC와 Twirp 간의 선택은 주로 특정 요구사항과 기존 인프라에 따라 달라집니다.
gRPC를 선택할 때:
- 고급 RPC 패턴이 필요한 경우: 서비스가 서버 스트리밍, 클라이언트 스트리밍 또는 양방향 스트리밍(예: 실시간 대시보드, 채팅 애플리케이션, 지속적인 데이터 피드)을 필요로 하는 경우 gRPC가 명확한 선택입니다. Twirp는 단항 RPC만 지원합니다.
- 성능이 절대적으로 가장 중요할 때: Twirp도 성능이 뛰어나지만, 멀티플렉싱 및 헤더 압축을 위한 HTTP/2를 사용하는 gRPC는 특히 고지연 시간 네트워크에서 동시성이 높은 시나리오에서 약간의 성능 이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- 다양한 언어 환경과 풍부한 도구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: gRPC는 광범위한 언어에 대한 공식 지원과 모니터링, 추적(예: OpenTelemetry 통합), 로드 밸런싱을 위한 성숙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어 대규모의 다양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 이상적입니다.
- 인증 및 연결 유지와 같은 내장 기능이 필요한 경우: gRPC는 이러한 기능을 즉시 제공하여 복잡한 설정을 단순화합니다.
Twirp를 선택할 때:
- 단순함과 HTTP/1.1 친숙도가 가장 중요할 때: 팀이 표준 HTTP에 익숙하고 HTTP/2 관련 인프라의 복잡성을 피하고 싶다면, Twirp의 "일반 HTTP" 접근 방식이 매우 매력적입니다.
- 기존 HTTP 미들웨어 및 프록시를 광범위하게 활용할 때: Twirp 서비스는
http.Handler
와 호환되므로 표준 Gonet/http
미들웨어, 리버스 프록시(Nginx, Caddy 등) 및 API 게이트웨이와 특별한 구성 없이 쉽게 통합될 수 있습니다. - 표준 HTTP 도구를 사용한 디버깅이 중요할 때: RPC 서비스를
curl
로 호출하고 표준 HTTP 요청/응답을 볼 수 있으면, 특히 gRPC의 이진 특성에 익숙하지 않은 개발자에게 디버깅이 크게 단순화될 수 있습니다. - 통신 패턴이 주로 단항 RPC인 경우: 일반적인 요청-응답 상호 작용의 경우 Twirp는 탁월한 성능을 제공하며 gRPC보다 간단한 코드베이스를 제공합니다.
- 더 작은 종속성 풋프린트를 우선시하는 경우: Twirp는 일반적으로 gRPC보다 외부 종속성이 적어 빌드 시간을 단축하고 잠재적으로 더 작은 바이너리 크기에 기여합니다.
- 간단한 RPC를 위해 브라우저 기반 클라이언트와 통합할 때: gRPC-Web이 존재하지만, Twirp의 HTTP/1.1 특성은 때때로 간단한 RPC를 브라우저 클라이언트에 직접 노출하는 데 더 간단할 수 있습니다 (물론 CORS 및 보안 고려 사항은 여전히 적용됩니다).
결론
gRPC와 Twirp 모두 프로토콜 버퍼를 활용하여 기존 REST API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며, Go에서 강력하고 효율적인 내부 서비스 통신을 구축하는 데 훌륭한 선택입니다. gRPC는 포괄적인 기능 세트, 다양한 스트리밍 기능 및 HTTP/2 최적화를 통해 복잡하고 고성능이며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환경에 적합합니다. 반면에 Twirp는 단순성, HTTP/1.1 호환성 및 기존 HTTP 인프라와의 쉬운 통합으로 뛰어납니다. 이는 단항 RPC 통신을 위해 단순성과 친숙도를 우선시하는 팀에게 이상적입니다. 궁극적으로 최적의 선택은 프로젝트의 특정 요구사항, 팀의 전문 지식 및 기존 아키텍처 환경에 달려 있습니다.